
1. 로드밸런싱이란? 로드밸런싱은 서버의 부하를 여러 대의 서버에 균등하게 분산시켜서, 단일 서버가 감당할 수 없는 과부하를 방지하고, 서버의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서버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자들에게 더욱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로드 밸런싱 기술을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장치(로드밸런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들 또는 네트워크 허브 사이에 위치한다. 로드 밸런싱의 목표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OS, 쿠버네티스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 등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목표를 가지고 활용되고 있다. 자원 사용 최적화 throughput(처리 용량) 증가 응답 속도 감소 특정 서버의 과부하 방지 안정성, 가용성 제고 2. 로드 밸런서란? 로드 밸런싱 기술을 제공하는 ..
Redis- 장바구니 : 로그인 동시에 캐싱, 비 로그인 시 임시로 저장되는 정보 -> 로그아웃, 특정 시간 이후 소멸- 임시 유저 정보 : 로그인과 동시에 캐싱되는 정보 -> 로그아웃 시 소멸- 할인 정보 : 특정 기간 * 특정 상품의 할인 정보 -> 할인 기간 종료 후 소멸- 쿠폰 정보 : 유저별, 제품별 할인을 위한 정보 -> 로그아웃이나 쿠폰 행사 종료 시 소멸- 배송 정보 : 배송 현황 제공을 위한 정보 -> 배송 완료 후 일정 시간 이후 소멸- 토큰 정보, 세션 정보 : 로그인 상태 유지 -> 로그인, 로그아웃 시 소멸- 광고 : 유저, 상품, 셀러 별로 -> 광고 계약시점 이후 소멸- 채팅 정보 : 채팅에 필요한 정보 -> 채팅 종료 시 소멸- 그 밖의 캐싱 Summary : 짧은 Lifec..
비즈니스 타입과 환경 (Business Type and Environment) 상품의 개수 - 상품 데이터가 많음. 상품의 다양성 - 데이터 카테고리를 잘 설계해야한다. 통제 - 일관된 포맷의 상품의 정보를 셀러에 요구하거나 생성해야한다. 판매자의 정보 관리, 지표화 - policy, margin, quantity, quality 즉각적 - 검색을 위한 키워드 완성, 추천 기능 필요 로그 데이터가 엄청 많음 - 판매, 회원 가입, 탈퇴, 배송 로그 데이터 관리 필요 파레토 vs 롱테일 - 일반적으로 작은 수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e-commerce에서는 롱테일 법칙 적용 (검색, 추천의 알고리즘을 적극적으로 활용) 같은 데이터를 다른 용도로 많이 씀 - 데이터 중복이 많고 이동이 많기에 수익 ..

소셜 로그인 기능 추가 중 로컬 환경은 잘 되는데 EC2에 배포하니 redirect url mismatch 오류가 생겼다. 아마 Nginx의 리버스 프록시를 사용하기 때문에 baseUrl를 다른 값으로 맵핑할 것으로 추측하고 pub 용 application 파일에 직접 uri를 설정했더니 성공적으로 작동 되었다. spring.security.oauth2.client.registration.google.redirect-uri=https://{domain}/oauth2/callback/google
JPA의 QueryDsl을 공부하며 DTO 설계를 다시 하던 중 문득 떠오른 생각, select * 로 row data를 전부 가져오는 것과 특정 컬럼을 가져오는 것이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생각이 들어서 우리의 칼라(구글)에 물어보았다. 위 문제는 아래 링크에서 어느정도(?) 해답을 얻을 수 있게되었다.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5512/which-is-faster-best-select-or-select-column1-colum2-column3-etc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180375/select-vs-select-column 성능의 관점참고된 예https://weblogs.asp.net/jongalloway/the-r..
- Total
- Today
- Yesterday
- load balancing
- 모노레포
- Kubernetes
- 멀티레포
- spring cloud config
- Hypernetwork
- 형상 관리
- Spring cloud
- Embedding
- 분산 처리
- tauri
- monorepo
- vae
- discord bot
- Microservice
- 디스코드 봇
- 토이 프로젝트
- Polyrepo
- 회원 테이블
- oauth2
- MLOps
- stable diffusion
- Textual Inversion
- springboot
- Multirepo
- 소프트웨어 방법론
- context7
- spring boot
- 로드밸런서
- load balan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