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xDB란?Go 언어로 개발된 오픈소스 Time Series Database(시계열 데이터베이스)Influx DB는 Distributed, Scale horizontally하게 설계되어 새로운 노드만 추가하면 손쉽게 scale-out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샤딩이 가능하다.Restful API를 제공하고 있어 CRUD API 통신이 가능하다. 최근 InfluxDB 2.x의 경우 자체 UI를 제공하며 서버 접근용 토큰을 발급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즉, 가장 유명한 TSDB 이고, 많은 쓰기 작업 및 쿼리 부하를 위한 DB이며, Rest API 제공한다. InfluxDB의 핵심 기능☞ InfluxDB는 2가지 핵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일정 주기마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
회원 테이블의 특징 및 설계 결정 요소 거의 모든 서비스에서 참조하는 테이블이기에 READ 작업이 많아 불필요한 컬럼의 읽기가 일어나면 좋지 않을 수 있다.그렇기에 1:1 매칭되는 컬럼이 있더라도, 정규화를 해서 분리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다.기본 테이블 구성에는 회원 정보, 회원 인증 정보등이 필요하지만 좀 더 나은 회원 데이터 관리를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은 로그 데이터 및 휴면 계정 데이터 등이 있다.테이블 구성회원 정보회원 인증로그스키마 단위로 나누면 보안 그룹 설정 관리와 MSA 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회원 인증 정보를 따로 두는 이유는 최근에는 엄청 다양한 로그인 방식이 있기 때문에 따로 둬서 관리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아래는 각 스키마 별 구성이다.회원 (MEMBER)m..

Spring Cloud Config 분산 시스템에서 서버 클라이언트 구성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외부 시스템에서 관리 하나의 중앙화된 저장소에서 구성요소 관리 가능 각 서비스를 다시 빌드하지 않고, 바로 적응 가능 애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을 통해 환경에 맞는 구성 정보 사용 (예: DEV, UAT, PROD) 방법 1. github에 Repository를 Private으로 생성하고 yml 파일 업로드 아래는 파일명 예제 예) chatapp-dev.yml, chatapp-prod.yml 2. github 엑세스 토큰키 생성 3.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하고 build.gradle 수정(최신 스프링부트 버전 3.0.5 기준) 좀 더 안정화된 버전을 쓰고 싶다면 스프링 부트 2.5.x나 2.7.x 라인을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애자일(Agile) 방법론애자일(Agile) 방법론은 구체적인 개발 프로세스가 아닌 개발 지침, 철학에 가깝다.변화를 수용하고 협업과 제품의 빠른 인도를 강조하는 반복적 개발 방법문서화보다 코드,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자체를 중요시 함요구사항의 변화는 불가피하며 이에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이다.기존의 개발 프로세스는 설계 기간이 길며 재작업 시 오버헤드가 크다.환경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애자일 선언문(Agile Manifesto) 🔗공정과 도구보다 개인과 상호작용을포괄적인 문서보다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계약 협상보다 고객과의 협력을계획을 따르기보다 변화에 대응하기를요구사항이 바뀌기 쉬운 중소형의 비즈니스 시스템이나 전자 상거래 응용에 적합하다.애자일 방법론의 종류..

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모델을 얘기할 때 다음과 같은 모델 종류가 쓰이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Checkpoint :뼈대가 되는 모델이라고 생각하면된다. Stable Diffusion 1.5를 예로 들 수 있다. 이게 없으면 결과물이 나올 수가 없다. Checkpoint Merge로 다른 Checkpoint와 섞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실적 묘사 그림 형태에 특화된 모델과 비현실적인 묘사 그림 형태와 섞으면 조금 더 넓은 영역의 스타일의 그림도 생성해낼 수 있게 되지만, 좀 더 원하는 결과물을 나오게하는 조절이 조금 더 섬세해질 필요가 있는 듯 하다. 일종의 AI 모델끼리의 교배(?) 같은 느낌으로 생각하면된다.다음은 Checkpoint와 같이 병행해서 쓰이는 보조 모델들의 종류들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Polyrepo
- Hypernetwork
- oauth2
- load balancing
- MLOps
- Kubernetes
- 회원 테이블
- Textual Inversion
- Multirepo
- context7
- 분산 처리
- 멀티레포
- 소프트웨어 방법론
- monorepo
- discord bot
- 디스코드 봇
- vae
- Spring cloud
- 모노레포
- spring cloud config
- Microservice
- spring boot
- 로드밸런서
- 형상 관리
- springboot
- stable diffusion
- Embedding
- 토이 프로젝트
- load balance
- taur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