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모델을 얘기할 때 다음과 같은 모델 종류가 쓰이는데 하나씩 알아보자 Checkpoint :뼈대가 되는 모델이라고 생각하면된다. Stable Diffusion 1.5를 예로 들 수 있다. 이게 없으면 결과물이 나올 수가 없다. Checkpoint Merge로 다른 Checkpoint와 섞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실적 묘사 그림 형태에 특화된 모델과 비현실적인 묘사 그림 형태와 섞으면 조금 더 넓은 영역의 스타일의 그림도 생성해낼 수 있게 되지만, 좀 더 원하는 결과물을 나오게하는 조절이 조금 더 섬세해질 필요가 있는 듯 하다. 일종의 AI 모델끼리의 교배(?) 같은 느낌으로 생각하면된다.다음은 Checkpoint와 같이 병행해서 쓰이는 보조 모델들의 종류들이..
Programming & CS
2023. 3. 29. 02:42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MLOps
- spring cloud config
- load balance
- tauri
- 모노레포
- Hypernetwork
- springboot
- 소프트웨어 방법론
- 토이 프로젝트
- 분산 처리
- load balancing
- monorepo
- Textual Inversion
- Multirepo
- Embedding
- Spring Security
- stable diffusion
- 멀티레포
- Spring cloud
- Microservice
- vae
- 디스코드 봇
- 형상 관리
- spring boot
- 로드밸런서
- Polyrepo
- 회원 테이블
- discord bot
- oauth2
- Kubernete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